다들 아시는 트위터에서 시작한 SNS붐은 해당 국가의 로컬화와 개선된 서비스들을 출현시켰지만 그 기본 개념은 같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. 페이스북이 트위터를 제쳤다고는 하지만 트위터는 정보의 새로운 유통방식을 만들어내었고 활용하기에 따라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활용용도는 무궁무진 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.
트위터는 "미니로그" 라고 불리울수 있는 것처럼 자신의 트위터 사이트에서 140자 이내에서 정보를 투고하는것이 기본. 하지만 실제 이용시에는 채팅과 게시판처럼 다른 유저들의 트윗을 관람하는것이 더 많다.
따라서, 트위터에서의 정보수집을 할 시에는 대량의 정보의 속에서 얼마나 좋은 정보를 손에 넣느냐가 관건이 된다.가장 중요한것은 "누가 발신한 정보인가이다" 라는것이다. 유명인부터 정보의 가치가 높다 라는것이 아니라, 유저의 아이콘과 프로필, 이제까지의 트윗을 보고 그 유저가 발신하는 정보의 가치를 산출하면서, 정보를 모아가면 좋겠다. "누구와 누구"의 대화인지에 의해 가치가 달라진다.
또, 양질의 정보를 얻기위해서는 자기자신의 브랜딩도 중요하다. "보여지는 쪽" 의 의식도 처음부터 가지는 편이 좋을것이다. 아이콘과 바탕화면 등은 블로그에 사용하는 스킨과 같은 모양, 자신의 이미지를 확립하는 요소가 됨으로 주의가 필요하다.
'Into the IT-Te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트위터 정보수집술] 복수계정 운영 (0) | 2011.09.01 |
---|---|
[트위터 정보수집술] 조간신문 대신 트위터를 체크 (0) | 2011.09.01 |
[트위터 정보수집술] 타임라인의 원하는 트윗을 골라 페이지로 발행하기 (0) | 2011.06.14 |
생활을 바꾸는 iPhone, 자기관리도 이제 디지털이다. (0) | 2010.01.15 |
iPod Touch 해킹~ (0) | 2009.12.06 |